[경제읽기]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하락세…집값 낙폭 커지나?
최근 서울 아파트 월세 가격이 상승하고 평균 전셋값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우려되는 가운데 전셋값이 빠지면서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가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울 지역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이 3년 3개월 만에 하락했습니다. 전세 물량은 늘었지만 금리 인상 등으로 신규 전세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당초 시장에서 우려했던 ‘8월 전세대란’ 가능성은 낮아졌다 할 수 있을까요?
반면 월세 수요는 늘어나면서 가격도 가파르게 오르고 전월세 전환율도 지난달보다 상승해 1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도 우려되는데요?
전셋값이 빠지면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데 정말 집값 낙폭이 가팔라질까요? 그동안 지나치게 올랐던 전셋값이 조정되고 있다는 의견도 있는데 하반기 부동산 시장,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전 분기 대비 0.7% 성장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2분기 GDP 실적을 두고 당초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서프라이즈’ 수준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는데 이런 결과가 가능했던 배경은 무엇인가요?
하반기로 갈수록 우리나라 경기 둔화세가 현저해질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내수 회복세 역시 공고하지 못한 데다 세계 경기 둔화세로 수출 경기가 꺾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건데 어떻게 보세요? 주목해야 할 변수를 꼽아주신다면요?
국제기관이 전망하는 우리나라 연간 성장률은 조금씩 하향 조정되고 있는데 지난 5월 한국은행이 수정경제전망에서 제시했던 연간 2.7%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까요? 목표를 달성하려면 남은 3? 4분기 동안 어느 정도 성장해야 하나요?
전국 7개 지방국제공항 국제선이 2년 5개월 만에 전면 재개되며 코로나19 여파로 끊겼던 해외행 하늘길이 모두 열리게 됐습니다.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런 결정이 나온 이유는 무엇인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