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여객기 화물기로 투입…장기수익성은 불확실
대한항공이 코로나19 여파 장기화 국면 속에서도 화물 수송분야에서 깜짝실적을 이어가며 올해 1분기 900억원대 흑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가 집계한 컨센서스(증권사 실적전망 평균치)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1분기 영업이익은 929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566억원 적자) 대비 흑자전환 할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기간 매출은 약 45% 줄어든 1조728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한 수치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1분기 코로나19 사태로 적자 전환했다. 대한항공은 이후 탄력적 대응을 위해 사업 무게추를 여객운송 분야에서 화물수송으로 신속히 전환했다. 국내 항공사 중 처음으로 여객기의 좌석 공간을 활용해 화물수송에 돌입했는데 이 전략은 적중해 지난해 2분기부터 연속 흑자를 내고 있다.
증권가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에도 국제여객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90% 이상 급감하고, 국내여객 매출도 30% 가까이 줄며 부진했지만, 화물수송 분야에서 깜짝 실적을 거둘 것이란 분석이다. 유휴 여객기 좌석을 활용한 화물공급·탑재율 증대에 주력한 결과다.
반면 글로벌 경쟁 항공사들은 줄줄이 생존 위기를 겪은 데다 국제선 여객수요 급감 상황이 이어지면서 밸리카고(Belly Cargo·여객기 화물수송) 공급능력은 여전히 절반 이하로 축소된 상황이다.
대한항공은 보잉777-300, 보잉787-9, A330-300 등 여객기 좌석 위에 안전장치인 카고 시트 백(Cargo Seat Bag)을 설치해 화물 공급도 늘리고 공항 주기료도 줄이는 일석이조 전략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턴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거쳐 대형 여객기(보잉777-300ER 기종) 중 2대를 화물수송이 가능한 항공기로 개조해 인천발 미국행 화물전용기로 운용하고 있다.
최근엔 수에즈 운하 봉쇄 사태에 따른 물류난으로 긴급 화물이 항공 운송으로 몰리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운휴 중이던 대형 여객기 보잉 747-8i를 밸리카고 형태로 화물 운송에 투입했다. 보잉 747-8i 투입 효과는 오는 2분기부터 반영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