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 96.7 / AM790 온라인 방송 | 보이는 라디오

애틀랜타 출신 정세윤 감독, 위안부 영화 화재

<윤수영 기자>

아메리칸 골든픽처 국제영화제 등서 총 52개상 휩쓸어

애틀랜타 출신으로 뉴욕에서 활동 중인 정세윤 감독이 제작한 위안부 소재 단편영화 ‘침묵을 깨다’(Breaking the Silence)는 지난 2019년 2월부터 1년 5개월간의 촬영 및 후반제작 과정을 거쳐 지난해 6월 선보였으며, 이후 2020년 아메리칸 골든픽처 국제영화제에서 최고 단편영화상, 편집상, 여우주연상을 차지하고 골든밸리 글로벌 시네페스트에서 최고 단편영화상 등 각종 영화제에서 총 52개 상을 차지하며 주목을받고 있습니다.

뉴스듣기<기자 리포팅>

영화 ‘침묵을 깨다’는 세계 2차대전 당시 1941년 홍콩의 세인트 스티븐스대 학살 사건을 배경으로 미 적십자 간호사로 근무하던 주인공 ‘프란체스카’가 동료 간호사들과 함께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게 된 내용을 40여년 지난 후 프란체스카가 회상하는 방식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영화평론가 졸리 모엘은 스크린크리틱스에서 “영화는 만족스러운 드라마와 서스펜스로 가득한 프란체스카의 인생 회상으로 영화 전반에 걸쳐 대본이 탄탄하다”면서 “각 장면마다 명료하고 긴장감이 넘칠 정도로 타임 프레임과 국가별 장면의 컷이 매끄럽게 이뤄지고 있어 편집자들은 많은 찬사를 받을 만하다”고 극찬했습니다..

정 감독은 “어린 시절 할머니와 부모님으로부터 일제 강점기 시절 이야기를 들으며 자랐으며 이후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증언을 여러 매체들을 통해 접하며 위안부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됐다”며 “일제 강점기 시절의 안타까운 이야기를 많이 전해주셨던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나서 후세대에 위안부 이야기를 제대로 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깨닫게 돼 이를 소재로 한 영화를 제작하기로 결심했다”고 제작 배경을 밝혔습니다.

정 감독은 중학교 때 이민와 귀넷카운티 릴번의 그레이터 애틀랜타 크리스천 스쿨(GAC)을 졸업했습니다. 이후 펜실베니아대(유펜)에서 정치학을 공부 후 하버드대 대학원서 정치학(Government)과 미디어 저널리즘, 컬럼비아 대학원에서 영화를 각각 전공했으며 마이클 호스먼 감독 등 유수의 감독들과 함께 장편영화 작업 및 수십여 편의 단편영화 제작에 참여했습니다.

ARK뉴스 윤수영 입니다.

관련 사이트 www.breakingthesilence2020.com

위안부 소재 단편영화 ‘침묵을 깨다’(Breaking the Silence).

 

윤수영

윤수영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구인구직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