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 96.7 / AM790 온라인 방송 | 보이는 라디오

연준이 참고하는 미 물가지표 4.1%↑…31년만에 최대폭

10월 PCE 5.0%↑·근원 PCE 4.1%↑…연준 통화정책 영향 주목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식료품점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식료품점

[AFP/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주로 참고하는 물가지표가 거의 31년 만에 최대폭으로 급등했다.

미 상무부는 10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월보다 0.6%, 전년 동월보다 5.0% 각각 올랐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 9월(4.4%)을 훌쩍 뛰어넘어 1990년 11월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전월 대비 상승률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0.4%를 상회했다.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월보다 0.4%, 전년 동월보다 4.1%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4.1%의 근원 PCE 지수 상승률은 지난 1991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이라고 CNBC방송이 보도했다. 마켓워치 집계로는 1990년 12월 이후 최대폭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억눌렸던 미국인들의 소비가 늘어나는 가운데 전방위적인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더해지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을 키우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근원 PCE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추이를 관찰할 때 가장 선호하는 물가 지표라는 점에서 이날 발표는 연준 통화정책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미 노동부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전년 동월보다 6.2% 급등한 것으로 집계된 바 있다.

연준은 이달부터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시작했으나, 물가 급등을 진정시키기 위해 테이퍼링 진행 속도를 더 높이라는 목소리가 연준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또 목표치인 2%의 두세 배에 달하는 물가상승세를 진정시키기 위해 내년 중반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하라는 견해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harimwoo

harimwoo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