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 96.7 / AM790 온라인 방송 | 보이는 라디오

월마트 ‘바이 아메리카’ 향후 10년간 ‘미국서 생산되거나 조립된 제품’ 구매

미국 최대의 소매 유통 체인 월마트가 향후 10년간 미국에서 생산되거나 조립된 제품 3500억달러(387조4500억원)어치를 추가로 구매할 것이라고 3일 공언했다.

워싱턴포스트(WP)와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이 회사의 존 퍼너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한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섬유, 플라스틱, 소형 가전, 의약, 의료용품을 포함해 미국에서 생산되거나 조립된 제품을 더 살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발언은 204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는 공언의 일환으로 나왔다.

월마트는 이번 조치로 미국 내에서 일자리 75만개가 창출되고 수입산에 비해 운송 거리가 단축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도 감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월마트에서 팔린 상품 비용이 4200억달러였다고 이번 계획의 규모를 비교해 설명했다.

앞서 월마트는 2013년에도 미국에서 생산·조립된 제품 2500억달러어치를 구매하겠다며 ‘바이 아메리카’의 기치를 들어 올린 바 있다.

WP는 월마트의 이번 행보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월 25일 서명한 ‘바이 아메리칸’ 행정명령을 뒤따른 조치라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은 연방정부가 기간시설을 구축하거나 자동차 같은 장비를 살 때 국산품 이용을 독려하는 내용이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아메리카 퍼스트'(America First)와 비슷하다는 우려가 여러 나라에서 제기됐다.

한편 월마트의 ‘바이 아메리카’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예컨대 미국의 한 소비자단체는 올해 초 월마트에서 팔리던 진공청소기 등이 수입산 부품을 사용했음에도 ‘미국산’이라는 표시를 달아 유통됐다면서 월마트를 미 연방거래위원회(FTC)에 고발하기도 했다.

2013년 시작된 월마트의 바이 아메리카 때에도 이런 비판이 여러 차례 제기된 바 있다.

월마트 매장의 모습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윤수영

윤수영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