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멕시코, 캐나다 25% 관세 한달 전격 연기 ‘관세전쟁, 경제타격 일단 늦췄다’

멕시코에 이어 캐나다도 25% 관세 부과 막판에 한달 연기 멕시코 1만명 국경배치 불법입국, 불법마약 차단, 캐나다 2억달러 예산으로 합동작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대통령에 이어 캐나다 총리와의 막판 협상 타결로 양국의 수입품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한달간 전격 연기했다고 발표해 관세전쟁, 경제타격을 일단 늦추고 있다. 멕시코는 군병력 1만명을 미국과의 국경에 배치해 불법입국, 불법마약의 미국유입을 차단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캐나다는 2억달러의 예산을 들여 합동 태스크 포스를 통해 펜타닐 마약, 조직범죄, 돈세탁을 막기로 합의했고 미국은 그 결과를 한달간 지켜보기로 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과 멕시코간에 이어 미국과 캐나다간 관세폭탄과 보복관세로 이어지는 관세전쟁, 그에 따른 미국경제의 물가인상과 내수침체를 마지막 순간 일단 피해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대통령과 합의한 데 이어 캐나다 총리와도 마지막 순간 협상을 타결하고 4일로 예정됐던 관세 25% 부과를 동시에 30일간 연기하기로 합의했다. 캐나다의 저스틴 튀루도 총리는 3일 오전과 오후에 걸쳐 두차례 트럼프 대통령과 가진 전화대화에서 캐나다의 국경단속 강화 대신 미국의 관세 부과 30일 연기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튀루도 캐나다 총리는 “캐나다가 2억달러의 예산을 투입해 합동 태스크 포스를 구성해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서의 조직범죄와 펜타닐 등 마약, 돈 세탁을 철저히 막는 합동작전을 벌이기로 한 대신 미국의 관세 부과는 30일간 연기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부과를 하루 앞둔 3일 “멕시코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멕시코가 군병력을 1만명이나 배치해 불법 마약 펜타닐과 불법입국자들의 미국 유입을 중단시키기로 동의했다” 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미국은 4일부터 부과하려던 멕시코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를 한달간 연기한다”고 공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마르코 루비오 국무, 스콧 베센트 재무,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이 멕시코 장관들과 협상을 벌이고 정상들도 참석해 두나라간 딜을 완전 타결하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세인바움 대통령도 소셜미디어를 통해 국가방위군 1만명을 미국과의 국경에 파견해 펜타닐 등 마약들의 미국유입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최대 수입국인 멕시코로부터 수입해오는 4750억달러 규모에 관세 25%를 부과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폭탄은 4일 디데이를 하루 앞두고 전격 한달간 연기됐다. 또한 3위 수입국인 캐나다로부터 들어오는 쇠고기와 돼지고기 등 육류, 목재 등 4200억달러 어치에 대한 미국의 관세 25% 부과와 캐나다의 1050억달러에 미국산에 대한 보복관세 25% 부과는 일단 한달간 연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수입품들이 주로 미국민들이 매일 애용하는 식료품들로 미국내 가격상승, 전반적인 물가급등, 수입감소와 미국민 소비지출 위축, 경기침체로 이어질 위험을 안고 있어 멕시코의 불법입국과 불법마약 차단을 이끌어내 결과를 볼때까지 관세를 미룬 것으로 해석된다. 캐나다에 대해선 불법입국 체포자들은 전체에서 1.5%, 펜타닐 적발은 전체에서 1%에 불과한데도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멕시코와 똑같이 25%를 관세를 부과하려 한다는 불만을 감안해 조직 범죄와 돈세탁까지 합동 작전을 벌이는 선에서 관세 전쟁을 일단 유보한 것으로 풀이된다. – 워싱턴 한면택 특파원 –

조류인플루엔자에 ‘금값’된 계란…계란메뉴 추가요금도

시애틀 한 식료품점의 계란 판매대   미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으로 계란 가격이 급등해 미국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다. 4일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12개 들이 A등급 대란(大卵)의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해 12월 4.15달러로 2023년 2월(4.21달러)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12개 들이 한 판에 3.65달러였던 11월과 비교해선 14%나 올랐다. 미국 내 계란 가격은 […]

對멕시코·캐나다 관세 부과돼도 현대차그룹 타격 가장 적을 듯

기아 멕시코 공장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고, 한 달간 시행을 유예한 가운데 이러한 관세로 현대차그룹이 받는 타격이 글로벌 완성차업체 중 가장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차그룹 중 기아가 멕시코 공장을 가동하고 있지만 다른 완성차업체에 비해 미국 수출분이 적어 관세 영향은 다른 업체에 비해 제한적일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에 […]

중국·홍콩발 국제소포 반입 차단…테무·쉬인에 직격탄

중국 의료 쇼핑몰 ‘쉬인’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관세 전쟁을 시작하자마자 국제 소포 반입도 차단하고 나섰다. 로이터·AFP 등에 따르면 미 연방우정청(USPS)은 4일 중국과 홍콩에서 들어오는 국제 소포 반입을 이날부터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이날부터 즉시 발효되며,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적용된다. 다만 여기에는 편지나 봉투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같은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부터 중국을 상대로 […]

파나마운하·그린란드 이어 가자까지…트럼프 新확장주의 논란

기자회견 나선 트럼프 대통령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폐허가 된 가자지구를 미국이 장악해 개발하는 구상을 천명하면서 또다시 ‘신확장주의’ 논쟁에 불을 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한 뒤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다른 지역에 재정착시켜야 한다면서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악할 것(take over)”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

MLB 탬파베이, 김하성 영입 발표…”몸 상태 좋아, 좋은 계약 감사”

팬들 향해 손 흔드는 김하성   미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탬파베이 레이스가 김하성(29)과 계약을 공식 발표했다. 탬파베이는 4일 “김하성과 2년 최대 3천100만달러(약 425억원)에 계약했다. 2026시즌 계약 이행은 선수가 선택한다”고 밝혔다. 곧바로 탬파베이는 화상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하성은 “지난 시즌에 부상을 당했지만, 지금은 몸 상태가 좋다. 나를 믿고, 좋은 계약을 해준 구단 관계자께 감사하다”며 “탬파베이가 월드시리즈에서 우승할 수 있게 […]

CJ올리브영, 세계 최대 시장 미국에 매장 연다…LA 법인 설립

CJ올리브영 홍대타운 자료사진   올리브영은 미국 법인 설립과 함께 글로벌몰 역량 강화는 물론 미국 현지 오프라인 매장 1호점 개점을 추진한다. 오프라인 매장은 현재 여러 후보 부지를 두고 검토 중이다. 글로벌몰을 통해 누적된 현지 데이터를 국내 옴니채널 성공 공식과 결합해 다양한 K뷰티 브랜드와 트렌드를 접목한 매장을 선보인다는 구상이다. 올리브영은 2012년과 2018년 각각 중국과 미국에 법인을 세우고 […]

20대그룹 경제사절단, 워싱턴DC 찾는다…대미 통상협력 ‘첫 단추’

APEC CEO 서밋 추진위원회 출범식 최태원 회장   대한상의는 오는 19∼20일 상의와 국내 2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로 구성된 ‘대미(對美)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이 미국 워싱턴DC를 공식 방문한다고 4일 밝혔다. 아직 참석자 명단은 최종 확정되지 않았으나 최 회장을 비롯해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등이 참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국에 대한 관세 조치를 공언한 가운데 트럼프 2기 […]

트럼프, 對멕시코·캐나다 25% 관세 한 달 유예…對중국 10% 추가 관세 발효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트럼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 시행을 하루 앞둔 3일 이를 한 달간 전격적으로 유예키로 했다. 그러나 중국에 대해 예고한 10% 추가 관세는 ‘반전’ 없이 예정대로 4일 0시에 접어들면서 일단 발효됐다. 이에 따라 중국·멕시코·캐나다 3개국을 상대로 선전포고를 한 트럼프발 ‘무역전쟁’은 전선을 중국으로 좁힌 채 시작하게 됐다. 트럼프 […]

불법체류자 단속 공포 확산…. 이민 단속시 대응 요령 ‘레드카드’ 배포

 미 전역에서 ‘레드 카드’라 불리는 작은 카드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불법체류자 단속이 강화되면서, 미 전역에서 ‘레드 카드’라 불리는 작은 카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란다 권리 카드’로도 불리는 이 레드 카드는 비영리 단체와 이민 변호사들이 배포하는 것으로, 단속 시 자신들의 헌법적 권리를 주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 카드에는 “수정헌법 제5조의 권리를 주장하며, 질문에 답하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