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면홍조, 식은땀, 불면… 그냥 더위가 아니다
갱년기는 보통 45세 전후로 시작되지만,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여름처럼 기온과 습도가 높을 때는 체온 조절이 어렵고, 땀과 열감이 심해지기 쉽다. 밤에는 자주 깨거나 잠들기 어렵고, 피로감과 짜증도 동반된다. 이를 무심코 ‘더위 먹은 것’으로 여기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 갱년기 초기일수록 변화에 대한 자각이 부족해 대처가 늦어질 수 있다.
◆ 여름철, 갱년기 증상 더 악화되는 이유
◆ 증상별 조기 관리로 삶의 질 지켜야
관련 전문가들은 “갱년기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증상이 일상에 영향을 줄 경우 조기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필요시 약물치료, 호르몬 요법을 병행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규칙적인 검진과 전문 상담은 갱년기 진행 속도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증상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삶의 질 저하뿐 아니라 질병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 여름철 체온·수분 조절 특히 신경 써야
냉방 기구를 적절히 활용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땀이 잘 마르는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수분과 전해질 섭취를 늘려 탈수와 어지럼증을 예방해야 한다. 명상, 스트레칭, 가벼운 유산소 운동은 자율신경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다. 식사도 지나치게 가볍거나 무거운 것보다 균형 잡힌 영양이 중요하다. 생활 전반에서 작은 변화들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다.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