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해석 어려워져”…흔한 ‘이 이어폰’ 탓에 20대女 청각장애, 왜?

gray and brown corded headphones

영국 런던에 사는 25세 여성 소피는 다른 사람 말을 잘 듣지 않는다거나 집중을 못한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그는 “주변에서 소음이 나는 건 들을 수 있지만 어디서 나는지 알 수가 없고, 사람 목소리인 걸 알겠는데 그 목소리를 빠르게 해석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청력 검사 결과는 정상이었다. 하지만 추가 검사를 위해 사설 청각전문가를 만난 소피는 뇌가 소리와 말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각정보처리장애(APD) 진단을 받았다.

하루 몇 시간씩 노이즈캔슬링 헤드폰 사용이 원인?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시골 조용한 농장에서 자란 소피는 몇 년 전 런던에서 대학에 다니면서 청각에 변화가 생겼다. 특히, 소리가 어디에서 나는지 알기가 어려웠다. 그는 대면 수업에는 거의 참석하지 않았고, 자막을 켠 채 온라인 강의를 듣는 일이 잦았다. 실제 강의실에서 수업을 들으려면 모든 단어가 횡설수설하는 것처럼 들려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다. 이는 학업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소피는 친구들과 술집이나 식당에 가도 참기 힘든 소음 때문에 일찍 자리를 뜨곤 했다.

소피가 청각정보처리장애를 갖게 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를 검사한 전문가는 과도한 노이즈캔슬링 헤드폰 사용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그는 하루 최대 5시간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을 사용했다.

다른 청각전문가들 또한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의 장기간 사용이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다섯 곳의 NHS(영국 국민보건서비스) 청각 진료과에서 청각 문제로 의뢰 받아 오는 젊은이들의 숫자가 증가했다고 전했는데, 이들을 검사해보면 청력은 정상이지만 소리를 처리하는 능력에 문제가 있었다.

특별히 청각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이 아닌 환자가 늘고 있어, 전문가들은 노이즈캔슬링 헤드폰과 같은 외부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는지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일상 소리 차단하면 뇌가 소음 걸러내는 기능 잊어버릴 수 있어

임페리얼 칼리지 헬스케어 NHS 트러스트의 성인 청각학 임상책임자인 르네 알메이다는 뇌가 무엇에 집중할 지 결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소리를 귀로 듣는 것(hearing)과 듣고 이해하는(listening) 데는 차이가 있다”며 “리스닝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이즈캔슬링 기능은 음악을 듣는 동안에도 주변 소리를 차단해 고주파 및 큰 소리가 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자신이 듣는 소리를 더 잘 듣기 위해 볼륨을 올릴 필요가 없어 난청을 예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한다.

영국 청각학회(British Academy of Audiology) 부회장인 클레어 벤튼은 자동차 경적소리와 같은 일상의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것을 ‘잊어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듣고 싶은 것만 듣는 헤드폰을 사용함으로써 굳이 노력할 필요가 없는 거짓된 환경을 만들어냈다”는 설명이다.

그는 “뇌의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듣기 기술은 10대 후반이 되어서야 비로소 발달이 완료되기 때문에, 10대 후반까지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을 사용하고 이 같은 거짓된 환경에 있었다면 말과 소음을 처리하는 능력을 약간 지연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여론조사업체 유고브(YouGov)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18~24세 영국 젊은이의 61%가 자막을 켜고 TV를 시청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 전문가인 안젤라 알렉산더 박사는 16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청각정보처리장애 클리닉에 검사를 받으려는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며,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이 특히 어린이의 청각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각적 장면 분석이라는 개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지금 내 머리 위에 선풍기 소리가 들리지만 뇌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며 “이는 우리가 환경에서 위협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뇌에 무엇이 걱정할 일인지 아닌지를 알려주는 입력이 더 이상 없다면 불안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알렉산더 박사는 헤드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외부 소음을 들을 수 있는 주변음 허용(transparency) 모드를 사용하며, 귀를 완전히 막지 않는 헤드폰을 착용할 것을 권했다.

관련기사

Picture of Dlee

Dlee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구인구직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리 장의사
선우 인슈런스
코너스톤 종합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