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신임 주미대사 부임…”한미간 난제 풀도록 역량 총동원”

강경화 신임 주미대사는 “한미 간 난제들이 꼬여 있는 만큼 모든 역량을 동원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강 대사는 4일,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몇 년 만에 다시 국익을 챙기는 외교 현장에 동참하게 돼 설렌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때 외교부 장관을 지낸 강 대사는 오는 6일 취임식을 하고, 미국 정부에 신임장을 내는 절차를 거쳐 본격적으로 대사직을 수행하게 됩니다.

한미 간 풀어야 할 시급한 과제로는 최종 체결되지 않고 있는 관세·무역 협상과 한국의 대미 투자 패키지, 조지아주 한인 구금사태로 촉발된 한국 기업인과 노동자 비자 문제 등을 꼽았습니다.

강 대사는 “대미 투자 패키지가 서로 간 좋은 결과로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현장에서 면밀히 대응하고, 현장 공관장으로서 최대한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우리 기업인들의 미국 출입국에 문제가 없도록 워킹 그룹 1차 회의가 잘 끝난 것으로 안다”며 “지속 가능하고 우리 기업인이 신뢰할 만한 비자 운영이 자리를 잡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밝혔습니다.

강 장관은 미국 입국 전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만난 것에 대해선 “25%의 관세를 감당하는 현대로서는 지금의 상황이 매우 어렵다고 생각해 대사로서 직접 듣고 오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서 면담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이어 “우리 정부는 기업 전체를 보면서 협상을 해나가자는 입장인데, 현대로서는 지금 직격탄을 맞는 자동차 수출 문제에서 고충을 호소하는 얘기를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어쨌든 기업이 정부와 한팀이 돼 좋은 결과를 만들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현대의 목소리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집권 1기 때 외교 장관을 지냈던 강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인연에 대해선 “장관은 장관을 상대로 하지 대통령을 상대로 하는 게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스타일이나 관심사 등은 어느 정도 파악을 했고,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에 특별수행원으로 참석하면서 다시 한번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 생각의 방향이나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있어 어떤 것을 특별히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볼 수 있었던 게 대사를 시작하면서 많은 참고가 됐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백악관이 ‘북한과 전제 조건 없는 대화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선 “우리 대통령께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하는 것을 적극 지지한다는 발언을 하셨고, 현장에서도 대통령의 의지를 받들어 각계에 그런 메시지를 계속 발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결국은 북한이 나서야 하는 사안이기 때문에 미국 당국자와 긴밀히 협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Picture of Joshua Byun

Joshua Byun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구인구직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리 장의사
선우 인슈런스
코너스톤 종합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