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운자로’, 위고비보다 47% 더 감량…비만 치료 지형 바뀌나

 비교 임상서 평균 체중 22.8kg↓…허리둘레·감량률 모두 우위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티드)’를 정면 겨냥한 일라이 릴리의 신약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가 체중 감소 효과에서 위고비를 압도했다.

12일 릴리는 마운자로(GLP-1/GIP 이중작용제)와 위고비(GLP-1 단독작용제)를 직접 비교한 임상 3b상 ‘SURMOUNT-5’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72주간 투여한 결과 마운자로 투여군은 평균 체중 감소율 20.2%, 위고비 투여군은 13.7%로, 마운자로가 약 47% 더 높은 감량 효과를 보였다.

절대 체중 감소량으로 보면 마운자로 투여군은 평균 22.8kg, 위고비 투여군은 15.0kg 감소했다. 15% 이상 체중 감량에 성공한 비율은 마운자로 64.6%, 위고비 40.1%, 허리둘레 감소량도 각각 18.4cm vs 13.0cm로 마운자로가 모든 지표에서 우위를 나타냈다.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과 GIP(위 억제 펩타이드)는 혈당과 체중 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호르몬이다. GLP-1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식욕을 줄여 포만감을 유도한다. GIP는 인슐린 분비를 보조하는 동시에 지방 대사와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김민선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비만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200여 가지 질환을 유발하는 심각한 만성질환”이라며 “이번 결과는 터제파타이드가 국내 비만 치료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루이스 아론 미국 웨일 코넬의대 교수도 “비만 치료제의 진화 속도가 기대를 뛰어넘고 있다”며 “이번 직접 비교 임상은 터제파타이드가 위고비보다 더 나은 선택지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고 강조했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마운자로는 위고비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위장관 관련 증상이었으며, 대부분 경증 또는 중등도에 머물렀다. 이상반응으로 투약을 중단한 비율은 마운자로 6.1%, 위고비 8.0%로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이번 임상은 두 약물의 안전성을 직접 비교하기 위한 설계는 아니었다.

현재 마운자로는 국내에서 제2형 당뇨병 보조요법과 함께 BMI 30 이상 비만, 또는 BMI 27 이상이면서 고혈압·고지혈증 등 동반질환이 있는 과체중 성인 대상 체중 관리 보조제로 허가를 받은 상태다. 릴리는 국내 출시 이후 비만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전략적 신약으로 마운자로를 육성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Picture of king

king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구인구직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리 장의사
선우 인슈런스
코너스톤 종합보험
error: 오른쪽 마우스 클릭은 안되요, 불펌 금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