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 96.7 / AM790 온라인 방송듣기 

연준인사들, 실업률 상승 경계…금리인하 적극 검토 목소리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들 사이에서 실업률 상승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연달아 나왔다.

기준금리 인하를 좀 더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뉘앙스를 담고 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24일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실업수당 청구가 증가하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데다 다른 여러 지표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냉각되고 소비자 지출이 약화되기 시작하면 연준은 인플레이션과 고용 양쪽의 균형을 맞추는 것에 대해 더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너무 오랫동안 규제를 강화하면 실물 경제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런 정책 설정이 경제를 너무 둔화시키는 것은 아닌지 걱정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오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굴스비 총재는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매우 긴축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현재 연준의 통화정책을 평가했다.

연준 내 대표적 비둘기파 인사로 평가되는 굴스비 총재는 미국 경제가 과열 양상을 벗어나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최근 우리가 본 것 같은 인플레이션 지표들이 계속 나오고 실물경제 다른 부분에서도 속도 완화가 확인된다면 연준이 이제껏 견지해온 제한적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할지 연준 안팎에서 의문이 제기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굴스비 총재는 이어 고금리 정책은 경기 과열을 막고자 할 때 필요한 것이라면서 “미국 경제는 더 이상 과열 상태가 아니며 실업률은 상승하고 소비자 지출은 약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정책 당국자들이 현재 5.25%~5.5%인 연준의 기준금리가 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나려 하는 미국 경제에 적절한 수준인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자신을 인플레이션 측면에서 ‘개선될 것을 믿는 낙관론자’라고 설명한 굴스비 총재는 금리 인하를 시작하기 위해 물가상승률이 더 낮아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준은 연초 예상보다 높았던 인플레이션 압력이 낮아지고 있다는 확신을 좀 더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굴스비 총재는 앞서 지난 20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호평하며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지난 5월 같은 진정세를 계속 보인다면 연준이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이날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행사 연설에서 “미국 노동 시장이 변곡점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추가적인 경기 둔화는 실업률 상승을 의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은 우리가 직면한 유일한 위험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인플레이션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가지 임무를 모두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노동시장은 천천히 조정되었고, 실업률은 조금씩 상승했다”면서 “하지만 이런 긍정적 결과가 나오기 힘든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데일리 총재는 연준이 여전히 높은 물가와 실업률 상승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금리 인하가 필요할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그는 이 시점에서 통화정책은 ‘조건부’여야 하며 물가상승률이 실망스럽게 나올 경우 금리를 더 오래 유지하고, 노동 시장이 예상보다 더 냉각되면 금리를 인하하는 등 여러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Picture of Joshua Byun

Joshua Byun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구인구직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리 장의사
선우 인슈런스
코너스톤 종합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