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관련 이미지
전 세계 기술업계 종사자 10명 중 9명이 코드 작성 같은 업무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CNN이 23일 보도했다.
구글의 최신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기술 전문직 종사자 5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0%가 업무에 AI를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14% 증가한 것이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AI가 일자리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와 기대 등이 교차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CNN은 짚었다.
앞서 챗GPT 개발사 오픈AI 경쟁사인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최고경영자(CEO)는 “AI가 향후 5년간 모든 신입 사무직 일자리의 절반을 없애고 실업률을 최대 20%까지 급등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에 따르면 최근 컴퓨터 과학과 컴퓨터 공학 졸업생의 실업률은 미술사, 영문학 같은 다른 전공 졸업생의 실업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웹사이트 ‘인디드’에서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직무의 채용 공고가 최근 약 3년 반 사이에 71% 감소했다.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 등 구글의 코딩 도구를 총괄하는 라이언 J. 살바는 CNN과 인터뷰에서 구글에서도 대부분의 팀이 AI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서 작성 방식부터 코드 편집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AI 기술이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구글 엔지니어라면 일상 업무의 일부로 AI를 쓸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번 조사에서 AI에 대한 신뢰도는 엇갈렸다.
조사에 참여한 기술 전문직 종사자 중 46%는 AI가 생성한 코드의 품질을 “다소(somewhat) 신뢰한다”고 답했다. “약간(a little) 신뢰한다”는 23%, “많이 신뢰한다”는 20%였다.
코드 품질 개선 효과에 대해서도 31%는 “약간 개선됐다”고 봤지만 30%는 “아무 영향이 없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