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 항공기 참사를 계기로 워싱턴DC 인근 로널드 레이건 공항의 관제 규정이 강화됨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헬리콥터를 탑승할 때마다 공항 이착륙이 금지돼 승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새 규정은 지난달 29일 레이건 공항 주변 공중에서 아메리칸 항공 여객기와 미 육군 헬기 ‘블랙호크’가 충돌하면서 타고 있던 67명 전원이 숨진 사고를 계기로 연방항공청(FAA)이 안전 강화를 위해 만든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이달 13일 새 규정 시행 이래 수십개 항공사들의 도착 항공편이 예정 시각에 공항에 착륙하지 못하고 선회비행을 하다가 연착하는 일이 빈번하다.
또 연료가 모자라서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 볼티모어/워싱턴 국제공항, 리치먼드 국제공항 등 인근 공항으로 목적지를 변경해 착륙해야만 하는 회항 사례도 잦다.

이에 따라 이 공항에 이착륙하는 아메리칸항공의 조종사들은 반드시 여분의 연료를 넉넉히 넣고 출발해야 한다는 지시를 사측으로부터 받았다.
지연과 회항이 빈발하게 된 결정적 이유는 대통령의 전용 헬리콥터 ‘머린원'(해병대 항공기 1호기)가 뜨고 내릴 때뿐만 아니라, 그 전후에 백악관 주변을 선회비행하면서 감시하는 국립공원경찰대 헬리콥터가 비행중일 때도 공항 이착륙이 금지됐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머린원 이착륙 때만 상업용 항공기의 레이건 공항 이용이 금지됐다.
WP는 새 규정 실시 다음날인 14일의 경우 레이건 공항의 항공기 이착륙이 오후 2시 25분께부터 1시간 가까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출발 예정 항공편들은 출발이 지연됐고, 착륙 예정이던 약 30대의 항공편은 제 때 착륙하지 못하고 버지니아, 메릴랜드, 노스캐롤라이나 등의 상공에서 선회비행을 하며 시간을 보냈다.
레이건 공항 도착 예정이던 항공편들 중 9편은 결국 다른 공항으로 회항해야만 했고, 예정과 다른 곳에 내리게 된 승객들은 불편과 혼란을 겪었다.
일부 승객들은 렌터카나 연결 항공편을 놓쳤다.
그 날 트럼프 대통령은 오후 3시 8분에 머린원에 탑승해 출장길에 올랐으며, 그로부터 몇 분이 더 지나고 나서야 레이건 공항 활주로의 이착륙이 정상화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