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종합 2위를 확정한 대한민국 선수단이 대회 마지막 날인 14일 금·은·동메달을 하나씩 수집하며 피날레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우리나라는 금메달 16개와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로 8년 만에 다시 열린 동계 아시안게임을 마무리했다.
금메달 16개는 직전 대회인 2017년 삿포로 대회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한국 동계 아시안게임 사상 최다 금메달 타이기록이다.
우리나라는 삿포로 대회 땐 금메달 16개에 은메달 18개와 동메달 16개로 역대 최고 성적을 낸 바 있다.
각 종목 단체의 전망과 자체 분석 등으로 대한체육회가 이번 대회를 앞두고 잡았던 목표는 금메달 11개 정도였으나 선수단을 이를 넘어서고 종합 2위 수성 목표도 지키면서 한국은 성공적으로 대회를 마쳤다.
대회 마지막 날 우리 선수단은 남녀 컬링과 남자 아이스하키에서 메달을 수확했다.

중국 하얼빈의 핑팡 컬링 아레나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이 하나씩 나왔다.
스킵 김은지, 서드 김민지, 세컨드 김수지, 리드 설예은, 핍스 설예지가 나선 여자 컬링 대표팀 경기도청은 개최국 중국과의 결승전에서 7-2로 완승, 2007년 창춘 대회 이후 18년 만에 아시아 정상을 탈환했다.
여자 컬링 대표팀은 9개 팀이 풀리그로 겨룬 라운드로빈에서 8전 전승을 거뒀고, 준결승에서 카자흐스탄, 결승에서 중국을 연파하는 ‘무패 행진’으로 이번 대회 대한민국 선수단의 마지막 메달을 금빛으로 물들였다.

스킵 이재범, 서드 김효준, 세컨드 김은빈, 리드 표정민, 핍스 김진훈으로 구성된 남자 컬링 대표팀 의성군청은 앞서 열린 필리핀과의 결승전에서 3-5로 져 은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대표팀도 여자 대표팀과 더불어 18년 만의 동반 금메달에 도전했으나 귀화한 스위스 대표 출신 선수들로 팀을 꾸린 ‘우승 후보’ 필리핀의 벽을 넘지 못했다.
남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하얼빈 아이스하키 아레나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중국에 5-2 역전승을 거두며 동메달을 수확했다.

남자 대표팀은 전날 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 슛아웃(승부치기) 끝에 져 사상 첫 금메달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2007년 창춘 대회(동메달)부터 4회 연속 아시안게임 입상에 성공했다.
여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은 하얼빈체육대학 학생빙상장에서 열린 카자흐스탄과의 본선 최종전에서 0-3으로 패했다.
중국, 일본, 카자흐스탄과 풀리그로 메달을 다툰 본선에서 3전 전패를 기록한 한국은 4위로 마무리했다.
개최국 중국은 이번 대회 전체 금메달 64개 중 절반인 32개를 휩쓸며 종합 우승(은27·동26)을 달성했고, 우리나라에 이어 일본(금10·은12·동15)이 3위에 자리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7년 만에 처음으로 겨울 국제종합대회에 출전한 북한은 11일 피겨스케이팅 페어에서 렴대옥-한금철이 유일한 은메달을 수확해 7위로 대회를 마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