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틀랜타 한인사회,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추모

지난 18일, 둘루스의 더파티.
한인 동포 40여 명이 모여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추모했습니다.
참석자들은 국화 헌화와 분향, 묵념으로 1980년 광주에서 희생된 이들의 넋을 기렸습니다.

김경호 애틀랜타 5·18 기념사업회 회장은 “민주주의를 향한 용기 있는 항쟁이었다“며 ”그 정신이 미래 세대에게도 살아 숨 쉬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기념식에서는 박유리 주애틀랜타총영사관 영사가 대통령 권한대행의 기념사를 대독했고
한오동 애틀랜타-조지아 한인상공회의소 회장, 장유선 케네소주립대 교수(자주평화통일 조지아협의회 회장)가 추모사가 이어졌습니다.

김백규 애틀랜타한인회 재건 비대위원장은 ”5·18은 대한민국이 자유를 얻기까지 치러야 했던 고귀한 대가였다“며 ”그 가치를 더 널리 알리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날 행사에선 특별한 목소리도 전해졌습니다.
1980년 5월, 원광대에 재학 중이던 최계은 씨는 광주에서 형을 잃었습니다.
45년이 흐른 지금, 그는 김용택 시인의 시를 통해 그날을 기억했습니다.

최계은 호남향우회 이사장은 “5·18을 기릴 때마다 형님이 떠오른다”며 “누군가의 희생이 있을 때 공동체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는 “역사를 잊지 않고 타인을 위한 삶을 살아가는 것, 그것이 예수님의 가르침이자 우리가 닮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믿는다”고 고백합니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한국인 어머니를 둔 2세 대학생 존 씨도 참석해 청년 세대의 시각에서 5·18 정신을 되새겼습니다.

그는 ”정말 감동적이고 의미 깊은 시간이었다“며 ”우리는 사회 정의와 표현의 자유 같은 오늘의 문제들과 5·18 정신을 연결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행사 말미엔 시민 연대의 상징인 ‘주먹밥 만들기’ 체험이 진행됐고 참석자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부르며 1980년 광주의 정신을 다시 가슴에 새겼습니다.

타국 땅 애틀랜타에서 되살아난 5월의 기억.
희생과 헌신의 역사를 기억하려는 이들의 다짐이 조용히 울려 퍼졌습니다.

애틀랜타라디오코리아뉴스 김수영입니다.

관련기사

Picture of smartnews

smartnews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구인구직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리 장의사
선우 인슈런스
코너스톤 종합보험
error: 오른쪽 마우스 클릭은 안되요, 불펌 금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