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400여개 사이렌 갖췄는데…8일 경보 사이렌 기록 없어
소방대원 부족하고 비포장도로용 차량 없어 진화 난항
산불이 휩쓴 하와이 마우이섬에서 경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주민들의 대피가 지연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11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하와이 재난관리청 대변인 아담 와인트럽은 산불이 처음 발생한 지난 8일 마우이의 경보 사이렌이 발동된 기록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휴대전화와 TV, 라디오 등을 통한 경보가 발송되기는 했지만, 전력이나 인터넷이 끊기기 전인지는 확실치 않다고 덧붙였다.
실제 마우이섬 서부 해변마을 라하이나의 주민 토머스 레너드(70)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연기 냄새를 맡기 전까지는 산불이 났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전력과 통신이 모두 끊긴 상태에서 아무런 정보도 없이 위험한 탈출을 감행해야 했고, 몇시간 동안 방파제 뒤에 숨어있다 겨우 구조됐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대피소에 머무는 다수의 라하이나 주민도 사이렌 소리를 듣지 못했다고 밝혔으며, 불꽃을 보거나 폭발 소리를 듣고서야 위험에 처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증언했다.
하와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옥외 경보시스템을 자랑해왔다는 점에서 이번 경보 누락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AP에 따르면 하와이 전역에는 주민들에게 자연재해나 기타 위협을 알리기 위한 약 400여개의 사이렌이 갖춰져 있어 통합적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