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한덕수·최상목 출국금지…韓측 “기억 한도 내 진술”

경찰이 내란 혐의를 받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향한 수사망을 좁히고 있다.

출국금지 조치에 이어 고강도 소환 조사를 벌이는 등 급물살을 타면서 이들 중 일부에 대한 신병 확보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경찰 특별수사단은 한 전 총리와 최 전 부총리를 이달 중순께 출국금지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말 출금 조치가 내려졌던 이 전 장관에 대해서도 금지 기간을 연장했다고 전했다.

전날 이들 ‘3인방’을 불러 10시간 안팎의 조사를 벌인 경찰은 계엄을 인지한 계기와 계엄 관련 문건을 수령한 과정 등에 대한 이들의 진술을 분석해 대통령경호처로부터 확보한 국무회의장 내부 등의 폐쇄회로(CC)TV 영상과 대조하고 있다.

전날 조사에서 한 전 총리는 “비상계엄을 사전에 인지 못 했고, 계엄 선포 직전까지 윤석열 전 대통령을 강하게 만류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계엄을 선포하겠다는 말을 듣고 경황이 없던 상황이었던 만큼, 일부 기억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강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 총리 측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성실하게 조사에 임했고, 본인이 기억하는 한도 내에서 경찰·국회·검찰에 나와 다 이야기를 했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한 전 총리의 경우 지난 2월 6일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선포 당시 (비상계엄 관련 문서를) 전혀 인지 못 했고, 계엄 해제 국무회의를 마치고 사무실로 출근해 양복 뒷주머니에 있는 것을 알았다”고 증언한 바 있다.

최 전 부총리와 이 전 장관도 경찰에서 기존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은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누군가 적힌 쪽지 형태로 (계엄) 자료를 줬다”, “덮어놓자고 하고 보지는 않았다”는 최 전 부총리와 “(집무실에서) 종이쪽지 몇 개를 멀리서 봤는데, 소방청 단전, 단수 등 내용이 적혀 있었다”는 이 전 장관의 주장에 대해 신빙성을 의심하고 있다.

경찰은 전날 조사 내용을 분석한 뒤 추가 소환을 비롯한 향후 수사 방향을 검토할 방침이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 체포 저지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를 받는 대통령경호처 박종준 전 처장, 김성훈 차장, 이광우 경호본부장 등 경호처 수뇌부에 대한 출국금지도 이달 연장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최근 경호처로부터 임의제출받은 비화폰 서버 기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가 원격 삭제된 정황도 포착했다.

아직 원격 삭제를 지시한 피의자가 특정되지는 않았지만, 배후에 윤 전 대통령이나 김성훈 차장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Picture of Dlee

Dlee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구인구직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리 장의사
선우 인슈런스
코너스톤 종합보험
error: 오른쪽 마우스 클릭은 안되요, 불펌 금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