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대수명 83.5년으로 OECD평균보다 길어…자살률 여전히 1위

65세 넘는 노인, 1천만 넘어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이 83.5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2년 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스스로 세상을 등지는 비율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경상의료비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OECD 평균보다 작았지만,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율은 더 가팔랐다.

2013∼2023년 기대수명 추이
2013∼2023년 기대수명 추이

◇ 우리 국민 83.5세까지 장수…OECD 국민보다 2.4년 더 살아

30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국가 평균(81.1년)보다 2.4년 길었다.

기대수명이란 해당연도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햇수를 뜻한다.

최신 통계인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회피가능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51.0명이었다. OECD 평균(228.6명)보다 낮았다.

회피가능사망률은 질병을 예방하고 제때 치료해 막을 수 있었던 사망 사례를 뜻하는 것으로, 이 수치가 낮다는 것은 그만큼 의료의 질이 높다는 뜻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우리 인구 10만명당 회피가능사망률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3.1% 감소했다.

영아사망률 역시 2023년 현재 출생아 1천명당 2.5명으로, OECD 평균(4.1명)보다 1.6명 낮았다.

2012∼2022년 자살사망률 추이
2012∼2022년 자살사망률 추이

◇ 더 살 수 있지만…자살사망률은 부동의 1위

높은 수준의 기대수명과 의료의 질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 2003년 이후 부동의 1위를 유지 중이다.

비교 가능한 최신 통계인 2022년 기준 우리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3.2명으로, OECD 평균(10.7명)의 2배를 넘었다.

자살 예방을 위한 '한 번만 더' 동상
자살 예방을 위한 ‘한 번만 더’ 동상

다만 우리나라 자살 사망률은 OECD 국가들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감소 중이다.

우리 자살 사망률은 2012년 30.3명에서 2022년 23.2명으로 23.4% 내렸고, 같은 기간 OECD 평균은 12.8명에서 10.7명으로 16.4% 감소했다.

이미지 확대2013∼2023년 GDP 대비 경상의료비 비율 추이
2013∼2023년 GDP 대비 경상의료비 비율 추이

◇ GDP 대비 의료비, OECD보다 작은데…고령화로 빠른 증가세

2023년 현재 우리나라의 GDP 대비 경상의료비는 8.5%로, OECD 평균(9.1%)보다 작았다.

경상의료비는 보건의료부문 서비스·재화에 쓴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을 뜻한다.

하지만, 우리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는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7.8%씩 늘어 OECD 평균 증가율(5.2%)을 웃돌았다. 2023년 현재 구매력평가(PPP) 기준 4천586달러(약 634만6천600원)다.

전체 경상의료비 가운데 민간 의료비를 제외하고 정부와 건강보험 등 보험 의무 가입에 따른 보건의료비 비중은 2013년 55.9%, 2018년 58.0%, 2023년 60.4%로 점차 커졌다.

그만큼 경상의료비 중 가계직접부담 비중은 2013년 38.3%, 2018년 34.7%, 2023년 31.2%로 작아졌다.

2023년 현재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PPP 기준 969달러(96만7천300원)로, OECD 평균(658 달러)보다 300달러(약 41만5천100원) 넘게 많았다.

담배
담배

◇ 흡연율 높고, 주류 소비량은 낮고…과체중은 증가세

2023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흡연하는 사람의 비율은 OECD 평균(13.2%)보다 높은 15.3%였다.

매일 흡연자 비율은 2013년 19.9%, 2018년 17.5%에 이어 2023년까지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순수 알코올을 기준으로 측정한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 소비량은 2023년에 연간 7.8리터로, OECD 평균(8.6리터)보다 적었다.

흡연율과 마찬가지로 주류 소비량도 최근 10년 사이 계속 줄었다.

2023년 15세 이상 인구 중 과체중 및 비만(체질량지수 25 이상) 비율은 36.5%로, 일본(26.0%)에 이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적었다.

다만 우리나라의 과체중·비만 인구 비율은 2013년 31.5%, 2018년 34.3%, 2023년 36.5%로 점차 늘고 있다.

요양원
요양원

◇ 집에서 장기요양 서비스받는 비율, OECD보다 낮아

2023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유급 장기요양서비스를 집에서 받는 비율은 9.0%였다. 이는 OECD 평균(11.2%)보다 낮은 값이다.

시설에서의 장기요양서비스 수급 비율도 우리나라는 2.7%로, OECD 평균(3.5%)보다 낮았다.

같은 해 우리나라 공식 장기요양 돌봄종사자 수는 65세 이상 인구 100명당 5.3명으로, OECD 평균(5.5명)보다 0.2명 적었다.

국내 65세 이상 인구 1천명당 요양병원 병상과 장기요양시설 침상 수의 합은 2023년 현재 53.8개였다. 병상 합계는 10년 전인 2013년(55.2개)보다 줄었다.

2023년 65세 이상 인구 1천명당 장기요양 병상 및 침상 수
2023년 65세 이상 인구 1천명당 장기요양 병상 및 침상 수

관련기사

Picture of 고지선

고지선

Leave a Replay


최신 애틀랜타 지역뉴스

구인구직

FM96.7 / AM790
애틀랜타 라디오코리아

애틀랜타 라디오 코리아는 LA, 시카고, 버지니아, 애틀랜타를 연결하는 미주 라디오 네트워크를 통해 발빠른 미주 소식을 전달해드립니다.

리 장의사
선우 인슈런스
코너스톤 종합보험
error: 오른쪽 마우스 클릭은 안되요, 불펌 금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