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무소속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는 6일 “한 번도 단일화가 실패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한 후보는 이날 서울 한 호텔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의 단일화 관련 질문에 “단일화 실패는 국민에 대한 큰 배신이고 배반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정치가 민생·경제의 발목을 잡고, 대한민국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것을 발목 잡는 것은 참지 못하겠다는 국민의 열화와 같은 의지가 있다”며 “어느 정치인도, 어느 국정을 하는 사람도 우리 국민의 의지를 감히 벗어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반드시 단일화는 이뤄질 것”이라며 “단일화를 통해 우리나라를 세계 6대 국가로 성장시킬 제도와 정책을 추진하게 하려는 국민들의 의지·설득도 동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후보는 단일화와 관련해 시간이 김문수 후보의 편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데 대해 “김문수 후보가 무엇이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인지 잘 판단하실 것이라 믿고, 어떤 방식의 단일화에도 다 찬성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와 지지층이 겹쳐 시너지가 날지 의문이라는 물음에는 “지지 세력이 반드시 같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제가 보니 저를 지지하는 분들이 훨씬 많더라”고 답했다.
‘오랜 정치 경험을 통해 내공을 쌓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비해 어떤 경쟁력이 있는가’라는 질의에는 “이 후보는 잘못된 내공을 쌓은 것”이라며 “그분이 하고자 하는 정책은 국가를 위해 대부분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떤 것이 진짜 정책인지도 잘 모르는 것 같다”며 “계속 바뀌고 있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이른바 ‘개헌 빅텐트’에 대해서는 “특정인을 불리하게 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누구도 배제하지 않고 국제정세에 대응하고 대내외적인 제도를 확실히 할 수 있는 개헌연대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개헌을 통한 권력구조 개편의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1년 정도는 모든 제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국민적 차원에서 더 있어야 한다고 본다”며 “삼권분립이 제대로 될 수 있는 진정한 자유민주주의·법치주의를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유민주주의의 최대의 적 중 하나는 포퓰리즘이고, 다른 하나는 절대적 다수의 가면을 쓴 소수에 대한 철저한 무시”라고 역설했다.
한 후보는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과 개헌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간호법 통과 사례를 거론하면서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충분히 설득하고 소통하면 과거 몇 건의 성공사례에서 보듯 아주 암담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과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서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통화한 적이 없다”며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일관되게 계엄에 반대했고, 윤 전 대통령이 다른 결정을 하도록 설득하지 못한 것에 대해 국민께 한없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가 계엄 해제를 요구하자 즉시 대통령께 가서 계엄을 해제해야 한다고 말씀드렸다”며 “계엄 해제 의결주문서를 제가 읽고, 제 주먹으로 계엄 해제안을 의결하는 방망이를 세 번 쳤다”고 덧붙였다.
한 후보는 “계엄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정치적으로 풀 수 있는 문제라면 다소 더디고 힘들더라도 계엄은 절대 발동돼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어느 대통령도 과가 없는 분은 없다. 그렇게 삿된 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좀 더 시간을 갖고 (개혁을) 원활하게 하려는 노력은 더 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이 한 일 중 가장 공감한 것으로는 노동개혁과 연구개발(R&D) 정책 개혁, 의료개혁 등을 꼽았다.
파면당한 정부의 국무위원이 출마한 것은 무책임하다는 지적에는 “도덕적으로 수용한다”면서도 “국민의 뜻에 어긋나는 일에 대해서는 저의 의견을 반드시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의원이 한 후보 부인을 ‘무속 전문가’라고 언급한 데 대해서는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제 아내는 출마에 극렬히 반대했고, 지금도 반대하고 있다”며 “박 의원에게 너무 실망했다. 말씀하신 것을 취소해주기를 요구한다”고 했다.
한 후보는 문재인 정부 시절의 소득주도 성장 정책을 언급하면서 “어느 한쪽이 옳다고 밀어붙여서 문제가 된 것”이라며 “경제를 모르는 분들이 계속 이념적 정책을 하면 시간이 지나면 나라가 망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지난 3일 헌정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광주사태’라는 표현을 사용한 데 대해서는 “송구스러운 말씀을 드린 것 같다”며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그런 표현을 한 것은 국민과 광주시민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다만, “모 야당의 대표였고 지금 후보인 분도 2014년에 광주사태라고 하셨더라”며 이재명 후보도 과거 광주사태라는 표현을 썼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