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규 ‘케이팝드’ PD
“경연 형식이지만 승패를 나누기보다는 하나의 곡, 음악으로 글로벌 아티스트가 하나 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특징이에요. 모두 즐겁게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만들었죠.”
애플 TV+ 새 글로벌 음악 경연 프로그램 ‘케이팝드’는 요즘 가장 화제를 모으는 ‘K-팝’이라는 요소를 전면에 내세웠다.
단순히 K-팝의 매력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전설적인 팝스타의 노래를 편곡하고, 합동 무대도 선보인다.
‘케이팝드’를 연출한 이연규 PD는 29일 오전 화상 인터뷰에서 “케이콘 등 해외 행사장에서 외국인 소녀들이 한국어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을 보고, 음악 하나로 교감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연출 배경을 설명했다.
‘케이팝드’는 미국의 전설적인 팝스타 라이오넬 리치와 이미경 CJ 부회장이 2021년 처음 기획하고 총괄 제작을 맡았다. 전설적인 팝스타와 무대를 만들자는 취지로 메건 더 스탤리언, 빌리, 스파이스 걸스, 테일러 데인, TLC, 케샤, 카일리 미노그 등을 모았다.
이처럼 쟁쟁한 스타들을 모았지만, 섭외 과정은 의외로 어렵지 않았다고 했다.
이 PD는 “다들 흔쾌히 출연을 승낙했고, ‘우리도 K-팝 아티스트와 컬래버레이션 하고 싶었어’라며 흥미로워하는 반응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K-팝 무대의 특징인 ‘엔딩 요정'(무대 맨 마지막에 얼굴을 당겨 길게 찍는 것)도 팝스타들이 신선하게 받아들였다고 했다.
그는 “‘엔딩 요정’은 하나의 K-팝 문화이기도 하다”며 “처음에는 당황스러워하다가도, 하나의 문화로 생각해주고 흥미롭게 무대를 끝마쳤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촬영을 진행했고, 빌리, 있지, 케플러, JO1, 에이티즈, 스테이씨, 키스오브라이프, 블랙스완 등이 이들과 함께 무대를 꾸몄다.
무대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처음에 걱정했던 언어의 장벽이나 문화 차이는 걸림돌이 되지 않았고, 오히려 한꺼번에 무대에 오르는 여러 출연진의 동선을 짜는 게 어려웠다고도 전했다.
이 PD는 “해외 아티스트는 (한 팀당) 적게는 1명, 많게는 3명 정도 출연했다. 그래서 숫자가 많은 한국 아티스트들과 동선을 맞추는 것이 제일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자 연습하고서 48시간 동안 맞추는 것도 챌린지(도전)였다”며 “다들 연습을 꾸준히 했고, 프로답게 잘 해냈다”고 돌이켰다.
모든 팀이 기억에 남는다면서도 스파이스 걸스와 있지의 무대를 인상적이라고 꼽았다.
그는 “둘 다 ‘워너비’라는 곡을 갖고 있다”며 “두 그룹이 한 팀처럼, 오랜 기간 함께 연습한 그룹처럼 보였다”고 설명했다.
최근 K-팝을 소재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끈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와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했다. 케데헌 열풍으로 조성된 K-팝에 대한 관심을 ‘케이팝드’로 이어가겠단 의미다.
이 PD는 “저도 ‘케데헌’도 너무 재밌게 두 번씩 봤다”며 “이 작품으로 케이팝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 것 같아 저희도 감사하다”고 말했다.
K-팝의 매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K-팝은 하나의 곡으로 여러 멤버들이 자신의 매력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라며 모든 것을 모은 ‘종합예술’이라고 봤다.
“K-팝은 우리만의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모든 지역의 팬들이 같이 즐기고 교감할 수 있는 모두의 공통언어죠. 이런 음악을 함께 즐기고, 세계를 넘나드는 것이 저희의 목표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