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높이면서 우리나라는 낮췄다.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날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0%로 전망했다.
지난해 10월 전망치(2.2%)와 비교하면 0.2%포인트(p) 하향 조정됐다.
IMF의 전망치는 정부(1.8%)와 한국은행(1.9%) 전망치보다는 높고 한국개발연구원(KDI) 전망치와 같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인 2.1%보다는 낮다.
IMF는 내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 역시 종전 2.2%에서 2.1%로 하향 조정했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에 전체 회원국의 경제전망을,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을 상대로 한 수정 전망을 발표한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2%에서 3.3%로 상향됐다.
특히 미국 성장률 전망치는 자산 효과에 따른 소비 강세, 완화된 통화정책, 안정적 금융 여건 등에 힘입어 종전 2.2%에서 2.7%로 상향 조정됐다.
독일(0.3%), 프랑스(0.8%), 이탈리아(0.7%) 등 유로존의 성장률 전망치는 지정학적 긴장 지속, 제조업 분야 약세 등을 이유로 하향됐다.
신흥개도국 그룹(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국) 성장률은 지난해 10월 전망과 동일한 4.2%로 전망됐다.
중국(4.6%)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보다 0.1%p 상향했다. 중국 정부의 대규모 부양 정책이 높아진 무역 불확실성과 자산시장 부진의 부정적 영향을 보완할 것이라는 분석이 뒤따랐다.
IMF는 미국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 확대, 확장적 재정정책, 이민 정책 등을 세계 경제의 위험 요인으로 제시했다.
확장적 재정정책, 규제 완화 정책은 단기적으로 미국 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채권 금리 상승, 신흥국 자본 이탈을 초래해 세계 경제에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상방 요인으로는 무역협정 추가 체결 등 자유무역 기조 확대와 노동력 확충, 경쟁 촉진 환경 등을 꼽았다.
IMF는 물가, 성장, 고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가별 상황에 맞도록 통화정책을 조정하라고 권고했다. 재정 건전화 노력과 성장 친화적 재정 투자, 취약계층 보호 등도 강조했다.
노동시장·디지털화 등 생산성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 무역 분절화 방지를 위한 다자간 무역 협력 강화 노력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