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연구팀 “노인 사회접촉 지원, 뇌위축·치매예방에 도움 될 것”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접촉이 거의 없는 노인들은 사회적 접촉이 잦은 사람들보다 전반적인 뇌 부피와 치매 영향을 받는 뇌 부위 크기가 많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규슈대 니노미야 토시하루 교수팀은 13일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서 평균 연령 73세 노인층을 대상으로 사회적 접촉 빈도와 뇌 부피 사이의 관계를 분석,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니노미야 교수는 “사회적 고립은 노년층에게 점점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며 “이 결과는 노인들에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시작하고 유지할 수 있게 돕는 게 뇌위축과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치매가 없는 평균 연령 73세의 노인 8천896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과 자기공명영상(MRI) 뇌 스캔을 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친척·친구와 얼마나 자주 접촉하는지(매일, 일주일에 몇 번, 한 달에 몇 번, 거의 하지 않음) 조사했다.
그 결과 사회적 접촉이 가장 적은 사람들은 사회적 접촉이 가장 많은 사람에 비해 전체 뇌 부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 백질(white matter)과 회백질(gray matter) 부피가 뇌, 뇌척수막, 뇌척수액을 포함한 전체 두개골 내 부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사회적 접촉이 가장 적은 그룹은 67.3%인 반면 접촉이 가장 많은 그룹은 67.8%였다.
사회적 접촉이 적은 그룹은 해마와 편도체같이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치매의 영향을 받는 부위의 부피도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접촉이 적은 그룹은 뇌 백질이 손상돼 나타나는 백질 병변이 사회적 접촉이 많은 사람보다 더 컸다.
백질 병변 부위가 두개골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사회적 고립 그룹은 0.30인 반면 사회적 접촉이 가장 많은 그룹은 0.26이었다.
사회적 고립과 뇌 부피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 증상이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 증상은 연관성의 15~2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이 뇌 위축을 유발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게 아니라 연관성을 보여줄 뿐이라며 연구 대상도 일본 노인으로만 했기 때문에 다른 인종이나 젊은 사람들에게는 일반화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니노미야 교수는 “노인들이 사회적 자극 그룹에 노출되면 뇌 부피 감소가 멈추거나 역전되고 사고력과 기억력이 향상된다는 일부 연구 결과도 있다”며 “사회적 고립을 개선하는 조치가 뇌위축과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