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을 접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방한 중인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을 만나 글로벌 보건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접견에서 게이츠 이사장의 최근 활동을 거론하며 “지구와 지구인 전체를 위한 공공 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경의를 표한다”며 “대한민국 정부도 함께할 방법을 최대한 찾겠다”고 밝혔다.
3년 만에 한국을 찾은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 게이츠 이사장은 게이츠재단을 통해 각종 백신 개발 등 보건 분야 및 기후 변화와 빈곤 퇴치 분야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우리 게이츠 이사장은 저도 메일 쓰는 ‘윈도’를 개발했다”며 “이를 통해 사람들이 모두 세상을 보는 창문을 가지게 됐다”고 언급했다.
이어 “게이츠 이사장이 백신 개발이나 친환경 발전시설을 개발하는 등 인류를 위한 새로운 공공재 개발에 나선 점도 참 존경스럽다”고 말했다.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이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 접견 중 발언하고 있다.
이에 게이츠 이사장은 “얼마 전 재단 출범 25주년을 기념해 모든 재산과 재단 기금을 20년 안에 사용하겠다고 약속했다”며 “2천억달러 가량의 자산을 사용하며 전 세계 보건 분야의 (여건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또 “앞으로 20년 동안 아동 사망자 수를 연간 200만명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며 “지금보다 80%의 아동 사망을 줄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한국이 이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며 “그 중 첫 번째가 한국의 혁신적인 제품을 통해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국 바이오 사이언스 제품들은 경이로운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IVI(국제백신연구소) 연구부터 시작해 SD바이오, SK, LG, 유바이오로직스까지 (한국에 있다)”며 “10년 전만 해도 아주 작았던 한국의 이 산업이 지금은 너무나 크고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저는 이 기업들의 제품을 직접 다룰 기회가 많았다. 특히 코로나 백신이나 진단 기기 등이 좋은 역할을 했다”고 떠올렸다.
아울러 “전 세계가 많은 변화를 겪었다. 지정학적 변화에 더해 AI(인공지능) 등 기술적인 변화도 있었다”며 “한국으로서는 전략을 다시 점검하며 ‘솔루션 개발’ 분야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큰 기회”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이날 접견에는 강훈식 비서실장, 위성락 안보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등이 배석했다.
접견을 시작하면서는 이 대통령이 “환영한다”고 인사를 건네자 게이츠 이사장이 “땡큐”라고 화답하는 모습도 포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