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수상한 한강 작가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문학상 메달과 증서를 받고 있다.
“디어(Dear) 한강, 스웨덴 한림원을 대표해 따뜻한 축하를 전할 수 있어 영광입니다. 국왕 폐하로부터 상을 받기 위해 나와 주시기를 바랍니다.”
10일(현지시간) 오후 열린 ‘2024 노벨상 시상식’에서 문학상 시상자로 나선 스웨덴 한림원 종신위원 엘렌 맛손은 한강의 수상 차례가 되자 영어로 이렇게 말했다.
맛손은 당초 한림원 연설문을 스웨덴어로 먼저 낭독한 뒤 마지막 두 문장을 한국어로 호명할 예정이었으나, 최종 준비 단계에서 영어로 바뀐 것으로 파악됐다.
자칫 ‘어색한’ 한국어 발음으로 권위 있는 시상식의 집중력과 무게감이 흐트러질 가능성을 우려해 계획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 번역 의뢰를 받았던 박옥경 번역가는 연합뉴스에 “시상식을 며칠 앞두고 (맛손 측에서) 도저히 어려울 것 같아서 결국 영어로 하기로 했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처음에는 한국어로 하겠다며 마지막 한 줄을 번역해달라고 부탁해왔다”며 “번역 문장을 보냈더니 ‘장담은 아직 못하겠으나 한 줄 더 번역해 달라’고 추가로 요청이 왔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박 번역가와 스웨덴 국적인 남편 안데르스 칼손 영국 런던대 동양아프리카대(SOAS) 한국학 교수가 직접 한국어로 된 문장을 각각 녹음해 전달했다고 한다. 부부는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와 ‘흰’을 스웨덴어로 공동 번역했다.
박 번역가는 “한림원이 스웨덴어 발전을 추구하는 기관이라 연설문은 전통대로 스웨덴어로 낭독하지만 마지막에 호명할 때는 수상자 출신국 모국어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간은 대부분 서양 언어권이었다”라며 “(맛손 위원이 한국어를) 마지막까지 연습했지만, 워낙 생소해 그런 것 같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수상자의 모국어 호명은 매해 상황에 따라 다른 것으로 보인다.
2022년 프랑스 여성 작가 아니 에르노와 2019년 오스트리아 작가 페터 한트케 수상 당시엔 마지막 문장 전체를 각각 프랑스어와 독일어로 호명했다. 2006년 튀르키예 소설가 오르한 파무크 수상 당시에도 시상자가 마지막 문장 전체를 튀르키예어로 말했다.
반면 2012년 중국 소설가 모옌의 수상 때는 스웨덴어로 연설문 전체를 낭독한 뒤 마지막 그의 이름을 부를 때만 중국어로 “모옌 칭(請·청하다)”이라고 말했다.
비록 ‘한국어’ 호명은 무산됐으나 한강은 이날 생중계된 세계 최고 권위의 노벨상 시상식 무대에서 아시아 여성 최초로 문학상을 받으며 전 세계에 한국 문학의 위상을 각인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