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관세 전쟁을 시작하자마자 국제 소포 반입도 차단하고 나섰다.
로이터·AFP 등에 따르면 미 연방우정청(USPS)은 4일 중국과 홍콩에서 들어오는 국제 소포 반입을 이날부터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이날부터 즉시 발효되며,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적용된다.
다만 여기에는 편지나 봉투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같은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부터 중국을 상대로 한 10% 추가 관세를 발효하고, 중국이 맞불 관세를 발표하면서 양국이 무역 전쟁을 개시한 직후 나온 것이다.
소포 차단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면세 구멍’ 차단을 예고한 것과 맞물려 있기도 하다.
그간 미국은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 물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면세 한도(deminimis exemption)를 적용해왔다.
이러한 ‘면세 구멍’은 특히 테무(Temu), 쉬인(Shein) 같은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형부터 스마트폰까지 ‘메이드인 차이나’ 물품이 쏟아져 들어오는 통로로 지목받았다.
2023년을 기준으로 중국에서 들어오는 수입품은 ‘800달러 면세’ 물량의 거의 50%를 차지했으며, 특히 테무와 쉬인 두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달했다.
미국으로 면세 한도로 수입된 물품은 10년 전에 연간 1억4천만 건 정도였지만 2023년에는 10억 건을 훌쩍 넘었다.
이같이 그동안 미국에서 초저가 물량 공세로 사업 기반을 넓혀온 쉬인·테무 등 중국 온라인 업체들에 타격이 예상된다.
물류 분석 업체 ‘세네타’ 관계자는 “중국발 전자상거래 규모는 지난해 20∼30% 성장했다”면서 이번 조치로 미국에서 중국 제품 가격이 올라갈 수는 있겠지만 소비자 수요가 있는 한 극단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테무와 쉬인은 즉각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중국 외교부는 이번 조치를 비판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국이 경제·무역 문제의 정치화·도구화와 중국 기업에 대한 억지 탄압을 중단하기를 촉구한다”며 “중국은 계속해서 필요한 조치를 채택해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단호히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Share Share](https://atlantaradiokorea.com/wp-content/plugins/cosmosfarm-share-buttons/layout/default/images/icon-share.png)